티스토리 뷰
방치하는 퇴행성관절염, 심해지면 수술까지 ,퇴행성관절염 치료의 모든것

무릎통증을 유발하는 무릎 퇴행성관절염 질환은 연골이 손상되거나 노화로 인하여 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와 인대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발생되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움직일때 무릎 주변이 시리고 통증이 심하고, 질환이 심해지면 움직임과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통증이 발생될 수가 있습니다.

무릎퇴행성관절염 진행과정
노화, 무리한 사용(과사용), 반복적인 충격이나 스포츠 손상 → 연골 손상 및 얇아짐 → 무릎간격이 좁아짐 → 주변 인대가 느슨해짐 → 무릎이 흔들리는 불안정성 발생 → 관절면의 불규칙한 움직임 초래 → 삐걱거리는 움직임으로 관절면 손상 → 추가적인 연곬혼상, 연골판 파열 발생 → 점차 관절면에서 연골조각이 떨어져 나오거나, 찢어진 연골판 조각이 관절내 돌아다님 → 연골/연골판 조각에 의한 염증반응 심화 → 염증반응에 의한 자가관절손상 발생 →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

무릎 엑스레이 검사에서 관절면의 간격 및 퇴행성 골극(자라난 뼈)의 정도를 평가하여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동반된 연골손상이나 연골판 파열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MRI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KL Grade I : 임상적으로 의심스러운 퇴행성관절염 및 미미한 골증식이 보임
● KL Grade II : 경도 퇴행성관절염, 관절간격이 유지되나 골극이 형성되는 단계
● KL Grade III : 중증도 퇴행성관절염, 골증식이 grade2에 비해 뚜렷하며, 골극형성 뿐 아니라 연골마모에 의해 관절간격도 좁아지게 되는 단계
● KL Grade IV : 심각한 퇴행성관절염으로 연골이 거의 다 닳아 관절간격이 소실되어 뼈끼리 맞닿게 되고 연골하 경화 및 다량의 골극형성이 되는 마지막 단계

무릎퇴행성관절염 증상으로는 주로 체중이 가해지는 자세인 서 있거나 걸을 때, 앉앗다가 일어날때 무릎 주위 통증이 발생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무릎 내측이 아픈 경우들이 가장 많으며, 앞쪽과 외측이 아픈 경우들도 있습니다.
이전, 연골판 파열로 인해 내시경 수술을 받았던 경우나 다쳐서 손상을 받아 이차적으로 관절염이 발생한 경우 또한 많으며, 퇴행성관절염과 더불어서 반달 연골판의 파열이 뒷부분에 동반된 경우에는 오금쪽에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며, 쭈그리고 앉거나 양반다리 자세를 하기가 어렵고, 계단을 내려갈때 심한 무릎통증증상을 느낍니다.
무릎관절염이 발생을 하게 되면, 서 있거나 걸을 때처럼 활동할때 통증이 심해지는, 주로 앉았다가 일어나기, 걷기, 오래 서있기, 계단 오르거나 내려올때 통증으로 인해 힘들며, 통증이외에도 관절에서 열이 나고, 부으며, 물이 차기도 하며, 점차 관절의 모양이 변해 아픈 부위가 튀어나오기도 하고 뼈가 자라난것 같기도 합니다.
무릎관절염이 진행되어 무릎 사이가 점차 벌어지고 휘어지는 변형이 오면, 무릎을 완전하게 구부리거나 다 펴지지가 않기도 하는데 특히, 쭈그리는 자세는 통증이 심해 불가능해지기도 합니다.

무릎통증 치료
초기(KL Grade 1기)
관절염 초, 중기의 경우, 주된 무릎통증 원인은 무릎 내외 염증반응에 의한 경우로 이때는 현재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반응을 가라 앉힌뒤 염증반응이 재발되는 것으 방지하는 노력을 합니다.
1. 염증 반응을 가라앉히는 방법 : 휴식, 찜질(열감이 있을 때에는 냉찜질, 통증만 있을 때에는 온찜질), 물리치료, 도수치료, 약물치료(소염진통제), 연골주사치료, 통증유발점 주사치료
2. 염증반응이 재발되지 않는 노력 : 체중감량, 과하게 무릎을 사용하지 않기, 튼튼한 무릎을 위한 무릎 강화 운동, 무릎에 무리를 가하는 안좋은 자세하지 않기

중, 후기(KL Grade 2,3기)
관절염 중, 후기의 경우, 무릎통증원인은 염증반응 외에도 무릎 내 진행된 연골손상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에는 퇴행성관절염이 서서히 진행되는 양상으로 통증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양상을 띠게 되며, 치료를 받고 잘 지내다가도 한 번씩 극심한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에는 갑작스런 관절염이 더욱 진행되었다기보다는 각각의 단계에서 관절내외에 염증반응이 심해지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1. 주로 염증반응에 의한 통증인 경우 : 약물치료, 물리치료, 연골주사

2. 연골손상 범위가 작고, 반달 연골판의 퇴행성변화가 있는 경우 : 프롤로 주사, 내시경하 염증제거 소파술, 미세천공술

3. 연골손상범위가 넓어 재생이 필요하고, 심한 반달 연골판 파열이 동반되고, 각 변형이 동반된 경우 : 자가연골재생술, 줄기세포치료술, 휜다리 교정술


말기(KL Grade 4기)

초기, 중기, 후기에 시행하는 치료방법들을 모두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증상 개선 기간이 짧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통증이 심하고, 휴식을 취하는 밤에도 통증이 있는 경우에 해당되며, 이때에는 본인의 관절을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관절면이 소실되어 불규칙하고 손상된 관절면을 벗겨내고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방법으로 치료합니다.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이란?
무릎관절면 3부위(안쪽, 바깥쪽, 앞쪽)중 한 부위에만 관절염이 있을 때, 해당 구획만 인공관절로 바꿔주는 방법입니다.
주로, 안쪽 관절면의 퇴행성관절염의 발생빈도가 높고, 바깥쪽 연골은 상대적으로 괜찮은 경우가 많아 이런 상황에서는 안쪽만 바꾸면 다른 구획의 구조물은 본인의 것을 유지한 채 문제가 되는 연골만 교체를 하는 것이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입니다.
무릎을 최소 피부절개(6~7cm이하)로 손상된 무릎관절의 일부를 제거하고, 부분만 인공관절로 바꿔주는 치료법으로 기존의 전치환술에 비해 회복속도가 빠르며, 수혈이 필요 없고,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자유롭다보니 수술 후, 재활치료기간도 짧아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치환술의 경우, 수술 후 인공관절에 무리가 가는 자세가 많아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나 부분치환술의 경우, 본인의 관절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제한을 두는 특정 자세나 행동이 없어 무릎을 많이 쓰는 스포츠 활동이나 쭈그려서 하는 일도 마음껏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인공관절 부분치환술 치료장점
심하게 손상된 부위만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주변 조직의 손상이 적어 통증이 적음.
자신의 연골조직을 최대한 보존하여 수술 후 자연스러운 동작에 도움이 됨.
전치환술에 비해 절개부위가 작아(7~8cm) 피부나 근육 등의 손상이 적어 회복이 빠름.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을 위한 조건은?
반치환술이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MRI와 같은 정밀검사를 통해 연골 손상과 마모상태를 파악하며, 다른 구획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며, 전방십자인대나 측부 인대,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여부를 함께 확인하게 됩니다.
전치환술과 달리 부분 치환술의 경우, 손상된 구획만을 인공관절로 교체하며 그 외 십자인대 및 측부인대 다른 구획의 관절의 상태가 정상적이라 수술 후 훨씬 더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하고 회복도 빠르며, 정상적인 관절로 생활할 수 있습니다.
전방십자인대 기능이 정상일 때 가능!
심하게 진행된 퇴행성관절염의 경우에는 십자인대가 함께 손상을 입는 경우가 있어 수술 전 검사에서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하게 됩니다.
휜 다리가 심하지 않은 경우 가능!
관절염이 진행이 되면 다리가 휩니다. 경도의 경우 부분치환술을 통해 휜 다리의 교정도 가능하지만, 심한 각변형을 동반한 경우에는 전치환술을 하게 됩니다.
다른 구획의 연골이 심하게 마모되지 않은 경우에 가능!
다른 구획의 연골 및 연골판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부분치환술을 시행하며, 다른 구획(2구획이상)에 관절염이 진행된 경우라면 전치환술을 하게 됩니다.

'관절치료 > 수술관절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초동 정형외과] 어깨 회전근개 완전파열, 봉합술 후 재파열이 발생하는 이유?! 어깨 재수술 막는 치료방법 (1) | 2025.04.08 |
---|---|
무릎관절병원추천🏅세바른병원 퇴행성관절염 | 발병원인 | 증상 및 진단 | 무릎 관절내시경 치료로 고령층 관절수술도 안전하게 (2) | 2025.03.28 |
무릎 퇴행성관절염 증상, 초기 치료 비수술 수술 치료법 (1) | 2025.01.22 |
무릎퇴행성관절염 무릎통증 증상 및 치료방법 (1) | 2024.11.20 |
최소침습 내시경을 통한 무릎 통증치료 (4) | 2024.11.11 |
- Total
- Today
- Yesterday
- 양방향척추내시경
- 회전근개손상
- 어깨비수술치료
- 어깨통증치료
- 야간통
- 세바른병원
- 허리통증
- 서종연원장
- 핌스치료
- 퇴행성관절염
- 허리협착증
- 어깨통증
- 황색인대제거술
- 허리디스크
- 척추관협착증
- 오원석원장
- 어깨핌스치료
- 무릎통증
- 석회성건염
- 김주현원장
- 어깨비수술
- 회전근개파열
- 풍선확장술
- 관절내시경
- 양방향내시경
- 오십견
- 손선용원장
- 천승희원장
- 인공관절
- 어깨관절이야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